- bool형 : True, False만을 가지는 값
- 정수형 : 0과 음수, 양수 값을 포함하는 숫자 값
- 실수형 : 소수점을 사용하는 숫자 값
- 문자열 : 따옴표로 묶여 있는 값들
- 리스트 : 정수, 실수, 문자열 등의 값들의 집합
- 튜플 : 정수, 실수, 문자열 등의 값들의 집합
- 딕셔너리: 정수, 실수, 문자열 등의 값들의 집합 - 키와 값이 한 묶음
하나씩 예제를 들어보자~~
type1 = True
type2 = 1
type3 = 3.1421
type4 = "문자열"
type5 = ["1","2","3"]
type6 = ("1",2,"3",4)
type7 = {"key":"keyvalue"}
print(type1,type2,type3,type4,type5,type6,type7["key"], sep='\n')

2. 딕셔너리(사전) 형식과 다른 타입의 중쳡 예시
아이돌 = {"레드벨벳":["아이린","조이","슬기","예리","웬디"]}
print(아이돌["레드벨벳"])

결론
마지막 변수형테인 딕셔너리(사전) 형태를 여러 형태로 테스트 해보시기 바랍니다.
나중에 JSON이라는 것을 많이 사용할텐데 JSON이 이 딕서녀리 형테로 되어 있기 때문이죠~~~
남어지 자료형은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익혀지니 아~~~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기 바랍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pygame 으로 벽돌깨기 만들기 part-1 (0) | 2020.05.24 |
---|---|
[Python] list자료형의 method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05.22 |
[Python] if문과 else문 (0) | 2020.05.22 |
[Python] 여러 자료형을 for문으로 출력하기!! (0) | 2020.05.22 |
[Python] 가변객체와 불변객체 (0) | 2020.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