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블로깅은 AWS 대해 하겠습니다.
코딩을 하시는 분이면 한번쯤 AWS에 대해 들어 보셨을 탠데요..
그렇다면 AWS는 무엇일까요.
AWS : Amazon Web Service
유저가 직접 서버를 구입하고 설치 할 필요 없이 AWS상에서 클릭 몇번으로 서버를 구축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AWS 개념
EC2 : Elasic Compute Cloud
- 한국어 해석 직독직해를 하면 "탄력있는 클라우드" 라는 의미이고
개인 적인 의미 이해로는 확장성있는, 기능이 많은 클라우드 라고 와닫는다.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 AWS의 databases 서비스
- RDS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서버를 생성해서 데이터 베이스를 설치하고 설정하고 관리 하지 않아도 된다.
-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베이스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보다 RDS를 사용하는 것이 저렴
Route 53
- AWS의 DNS 서비스
- API 시스템을 실제 도매인과 연결 시켜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AWS S3
- AWS S3(Simple Storage Service)는 이름 그대로 파일을 쉽게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 파일을 저장 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파일마다 고유 주소를 부여해주기 때문에 S3에 지정한 파일을 웹상에서 쉽게 읽어들일수 있다.
- 주로 사이트상의 이미지들을 저장하고 사이트에서 읽어 들어 렌더링 해주는데 사용한다.
Secuirty Group
- EC2 인스턴스에 대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는 가상 방화벽 역활을 한다.
- EC2 인스턴스에 HTTP SSH 접속이 가능하다.
Load Balancer
- 로드발란서는 HTTP 요청들을 여러 서버에 분산할때 사용한다.
- 트래픽 요청이 많을 경우 하나의 서버에서 감당하기 힘드므로 분산해서 HTTP요청들을 처리 해준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RDS사용 (0) | 2020.08.01 |
---|---|
[AWS] AWS에서 EC2 사용법 (0) | 2020.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