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

[AWS] RDS사용

by UnoCode 2020. 8. 1.

이번 포스팅은 RDS는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MySql 기준으로 작성 되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 RDS 서비스를 선택한다.

 

 

2. 먼저 MySQL 설정 파일을 만들어야 하니. 직접 안만들어도 default 설정 파일이 있지만 utf-8 인코딩 설정을 해줘야 한국어가 저장 가능하다. 먼저  우측 매뉴의"파라미터 그룹" 페이지로 가자.

 

 

  3. "파라미터 그룹 생성" 버튼을 클릭을 선택한다.

 

 - 파라미터 그룹 패밀리를 "mysql5.7"을 선택

 

- 그룹 이름 작성

 

- 설명 작성

 

4. 방금 생성한 설정 파일을 수정 한다

 

 

6. parameters 설정

 

  • chracter_set_client
  • utf8mb4로 변경
  • chracter_set_connection
  • utf8mb4로 변경
  • chracter_set_database
  • utf8mb4로 변경
  • chracter_set_results
  • utf8mb4로 변경
  • chracter_set_server
  • utf8mb4로 변경
  • collation_connection
  • utf8mb4_general_ci로 변경
  • collation_server
  • utf8mb4_unicode_ci로 변경

 

7. MySQL 데이터 베이스를 새로 생성

 

상단의 "데이터베이스 생성"버튼 클릭

 

* 주의할점 * 템플릿에서 프리 티어를 꼭 선택하자.

 

 

- DB 인스턴스 식별자 

 

- 마스터 사용자 이름

 

- 마스터 암호 

 

- 암호 확인

 

위 정보를 입력 후 스크롤은 하단으로 옮겨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퍼블릭 엑세스 기능 : 외부 접속 허용 기능을 

 

"예" 로 선택합니다.

 

8. 왼쪽 매뉴에서 파라미터 그룹에 들어가기

9. 파라미터 편집 클릭

 

 

10. 검색 창에 character 검색 후 모든 값을 utf8mb4로 설정

11. VPC보안 그룹 클릭

 

12. 인바운드 규칙 클릭

'

 

 

13. 소스 유형 편직

 

- "사용자 지정"을 할경우  원하는 IP만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

 

- "위치 무관"을 선택할 경우 모든 IP접속 가능  

 

14.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후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들을 생성하자.

 

mysql -h <엔드포인트 주소> -u root -p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에서 EC2 사용법  (0) 2020.08.01
[AWS] (Amazon Web Service)  (0) 2020.07.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