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현 영상
프로젝트 소개
- 위코드 1차 프로젝트 닥터자르트 홈페이지를 클론하게 되었습니다.
백앤드는 2명에 2명의 프론트로 진행되었으며 저는 백엔드를 담당했습니다.
개발 기간은 2020.07.20 ~ 2020.7.31(2주)
클론 사이트
< Dr.Jart+>
친환경 사이트를 판매하는 회사
적용 기술
- python
- Django
- Beautifulsoup, Selenium
- Bcrypt
- JWT
- MySQL
- AWS
- Git : github.com/ehghksvjscl/10-first-project.git
프로젝트에서의 역활
데이터 크롤링
데이터 모델링
mysql (RDS구축)
AWS서버 구축
제품 페이지, 메인페이지, 상세페이지 View구현
장바구니 기능
로그인 / 회원가입 기능
소셜 로그인(Google,Kakao)
리뷰 작성 기능
아쉬운점
팀워크 : wecode의 10기의 다른 팀분들은 소통을 잘했지만 개인적으로 우리팀은 소통이 원할 하게 진행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스탠딩 미팅이나 정보 주고 받는 소통은 원할하게 되었지만 사람대 사람으로서 친해질려고 하는 소통은 없었던것 같다.
우리팀이 가장 많이한 이야기는 "서버 켜주세요" 라는 문구와 API를 주고 받는 사이트의 URL이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코드 리펙토링이 두번째로 아쉬운점이라고 볼 수 있다.
초반 wecode에서 재공해준 git 설정이 생각 보다 어려웠다.
그래서 wecode에 git에는 너무 완벽한 코딩만 올리려는 욕심때문에 섯불리 RP을 달지 않았다.
그상태에서 계속 진행하다 보니 내코드가 어떤게 부족한지 잘 알지 못하는 코드였다.
이후 맨토님들이 댓글 달아준 코멘트를 바탕으로 리펙토링을 하겠지만 좀더 부족한 부분을 지적 받고 수정했으면
더좋았을 탠데 라고 후회가 많이 남는다.
잘한점
Postman , UnitTest, AWS
예전 부터 UnitTest를 하고 싶었는데 이론만 읽었을 때는 너무 거창하다고 느껴져서 함부로 손을 못댄 부분 이었다.
하지만 직접 해보니 UnitTest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어서 한층 성장한거 같았다.
View를 작성하며 UnitTest를 해보면서 꼼꼼 예외처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Postman, AWS와 같이 테스트와 배포하는 방법을 새롭게 알게 되어 재미있었다.
마치며
위코드에 오고 첫번쨰 프로젝트가 끝났다.
2차 프로젝트에서는 조금더 코드를 리펙토링을 잘 해야겠다.
'Djnago > 1차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닥터자르트 Dr.Jart+ 크롤링 Part 3 (0) | 2020.08.28 |
---|---|
닥터자르트 Dr.Jart+ 크롤링 Part 2 (0) | 2020.08.14 |
닥터자르트 Dr.Jart+ 크롤링 Part 1 (0) | 2020.08.13 |
[1차] 스크럼 방법 (0) | 2020.07.22 |
댓글